CentOS (linux) 에서 SVN 설치하기
git이 대세이고 흐름을 따라가야 하지만 일부 소규모 프로젝트에서는 svn을 고집하는 경우가 아직은 많이 있다. 그래서 이번엔 svn을 linux 환경에서 어떻게 설치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사용자 계정으로 설치한다.)
(Windows에 설치하는것은 이 글을 참조하자. )
$ sudo yum install -y subversion
yum으로 간단하게 subversion (svn) 을 설치할 수 있다.
이런 설치과정이 쭉 나오고 마지막에 Complete! 라고 나오며 깔끔하게 설치가 끝난다.
$ svn --version
설치확인은 위와 같이 해서 할수있다.
다음은 실제 프로젝트의 svn repository를 생성을 해야 한다. /app/svn 에 svn 관련 프로젝트들을 다 넣을 계획이다.
$ svnadmin create --fs-type fsfs /app/svn/(프로젝트명)
이렇게 명령어를 날리고 해당 디렉토리로 들어가면 프로젝트명으로 디렉토리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vi /app/svn/(프로젝트명)/conf/svnserve.conf
이제 svn repo의 세팅을 해줘야 한다. 어떤 권한을 가지고 있으며 이름은 뭔지 등등에 대한 설정이다. 많은 항목들이 있지만 다음 항목정도만 수정하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svn 환경이 된다.
svnserve.conf
anon-access = none
auth-accress = write
password-db = passwd
realm = (프로젝트 설명)
물론 앞에 #으로 달려있는 주석은 풀어줘야 한다.
그 다음은 계정 설정이다.
passwd.conf
harray = harryssecret
파일에 기본적으로 이렇게 쓰라고 예제도 나와있다. 이런식으로 id = password 로 사용할 계정을 만든다. 엔터키로 구분하여 여러 계정을 만들 수 있다.
실행
$ svnserve -d -r /app/svn
설정이 끝났으면 위의 명령어로 반영을 해주자.
확인
$ ps -ef | grep svnserv
$ netstat -ant | grep 3690
위의 명령어들은 svn이 잘 떠있는지 확인을 하는 것이다. svn의 기본 포트는 3690이다.
process와 port가 모두 다 잘 떠있다면 성공! 이제 이클립스에서 한번 붙어보자.
svn://svn설치한서버IP/프로젝트명
이렇게 입력을 하고 아까 passwd에서 생성한 계정정보를 넣으면 접속이 잘 되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