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ker를 사용해서 container 내부로 들어가서 작업을 하려고 하면 ll 명령어를 치면 command not found 라는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ll 이라는 명령어는 보통 ls -al 을 alias로 등록을 해놓은것인데 이걸 해놓지 않은 곳에서는 사용을 할 수 없다. 그래서 위와 같은 오류가 발생을 하는 것이다. 조치는 간단하다. 등록을 해주면 된다. 어디에? ~/.bash_profile 이라는 곳에. 등록을 해보자. $ vi ~/.bash_profile #아래 내용을 작성하고 저장 alias ll="ls -al" $ source ~/.bash_profile .bash_profile이 없다면 새로 생성하고 안에 alias를 넣어주고 반영을 해주는 순서이다. ll 뿐만 아니라 다른..
A라는 공유폴더에 E라는 계정으로 붙어 있는데 F라는 계정으로 변경을 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럴 경우 로그아웃을 하고 새로운 계정으로 로그인을 해야 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윈도우의 검색 > cmd 라고 입력을 해서 명령 프롬프트 창을 열어준다. 현재 사용중인 공유폴더 조회 : net use 공유폴더 로그아웃 : net use \\현재 접속중인 공유폴더명 /delete 이렇게 내가 사용하고 있는 공유폴더에 대해 로그아웃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공유폴더로 들어가보려고 하면 새로운 계정을 입력하라는 창이 나온다. (혹시 열리지 않는다면 파일 탐색기 및 브라우저 모두 종료 후 다시 들어가보자.) 끝!
linux의 실행파일이 자주 사용되어지고 또 재기동시 자동으로 시작되어야 한다면 실행파일을 Service에 등록을 하고 사용한다. Systemd를 통해서 Service를 등록할수도 관리할수도 있다. 이 모든 작업을 할때는 root 권한으로 진행을 해야 한다. 필자는 MinIO를 설치했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startup.sh, shutdown.sh 파일을 만들었다. (startup.sh의 경로는 /app/minio/oingdaddy) 이를 Service에 등록하고 또한 OS 재기동이 될때 MinIO Service가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할 계획이다. (혹시 궁금하신 분이 있을까 덧붙이자면 MinIO 설치 및 실행파일 생성은 여기를 참고하도록 한다.) CentOS version은 7.9 이다. Service..
OpenSSL은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통신에 쓰이는 프로토콜인 TLS와 SSL의 오픈 소스 구현판이다. C 언어로 작성되어 있는 중심 라이브러리 안에는, 기본적인 암호화 기능 및 여러 유틸리티 함수들이 구현되어 있다. OpenSSL은 Eric A. Young과 Tim Hudson이 만든 SSLeay에 그 근거를 두고 있다. SSLeay의 개발은 Young과 Hudson이 RSA Security로 적을 옮긴 1998년 12월 이래 비공식적으로 중단되어 있다. 거의 모든 버전의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솔라리스, 맥 OS X, 리눅스, BSD 포함) 및 OpenVMS, 윈도우에서 OpenSSL을 이용할 수 있다. (출처 : wiki백과) OpenSSL 설치 (update) version 확인하기 OpenSS..
A Server에서 B Server로 SSH를 이용하여 파일을 전송하거나 작업을 할 경우가 있다. 가장 대표적인것은 SCP이다. SCP로 이렇게 파일을 전송하려고 했을때 대상서버의 비밀번호를 물어본다. 비밀번호 넣어주고 해도 되지만 Jenkins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SCP 작업을 하려면 SSH key를 통해 해야한다. 물론 비밀번호도 넣어줘도 되지만 보안상 넣지 않는것이 일반적이다. 어떻게 SSH key를 생성하는지 또 생성한 key를 어느 위치에 어떻게 놔둬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자. 일단 예제에 앞서 개념을 잡고 가기 위해서 허접한 그림을 그려봤다. SSH key를 이용해 인증을 해서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파일을 전송하는것이 목표다. 그림대로 A Server는 B Server에게 SSH를 통..
A, B라는 서버가 있고 A라는 서버의 특정 폴더를 B서버로 옮기고 싶을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A라는 서버에서 FTP로 파일을 받아서 그걸 B서버에 전송을 해줄수도 있지만 SCP를 이용하면 훨씬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다. B서버에서 할 일 (받는 서버) $ vi /etc/hosts.allow sshd:123.123.123.123, 222.222.222.222, 보내는서버IP추가 받는 서버에서는 보내는 서버에 대한 ip정보를 추가해줘야한다. A서버에서 할 일 (보내는 서버) $ scp -r sample_folder username@xxx.xxx.xxx.xxx:/app scp 명령어를 통해 sample_folder를 폴더째로 xxx.xxx.xxx.xxx 서버(받는 서버 IP)의 /app 하위에 위치시키겠다는..
linux를 사용하며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에 대해 정리한다. zetawiki.com/를 참조하였다. 리눅스 종류 확인 $ grep . /etc/*-release 다른 계정으로 전환 - testuser 계정으로 전환 $ su - testuser 특정 명령어 root 실행권한 주기 - 사용 전 사용자 계정에 대한 권한 부여가 있어야 한다. $ sudo /usr/sbin/httpd -k stop CPU 사용량 확인 - 사용량이 높은 프로세스부터 확인 $ top Memory 사용량 확인 $ free 현재 디렉토리 용량 확인 $ du -hs * 프로세스 확인 - process_name에 해당하는 process가 떠 있는지 확인 $ ps -ef | grep process_name 프로세스 종료 $ kill proc..
지난번에는 rpm으로 설치한 package에 대해 삭제를 했는데 이번에는 yum으로 설치한 package를 삭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다. yum 으로 설치된 package 목록을 확인한다. $ yum list installed | grep [설치한 package] grep을 안써서 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grep을 사용하는 것이 여러모로 편한것 같다. yum으로 설치한 전체 list를 확인하려면 yum list installed 만 입력하면 된다. 설치목록을 확인했으면 이제 삭제를 해주면 된다. $ yum remove [삭제할 package명] 삭제가 잘 되었다. 중간에 y 한번 눌러주면 된다. 다시 yum list installed 로 확인해본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