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QOUpv/btqIhZxTnMS/t5KqyHZhubM7prZrjsnGeK/img.png)
지난시간까지는 Zabbix Collector (Server) 에 대한 설치 및 설정을 했다면 이제 이 Server에 붙일 Zabbix Agent에 대한 설치 및 Zabbix Server와의 연동을 설정을 할 차례다. Zabbix Agent 설치 모니터링을 할 서버는 내부망이라 직접 zabbix_agent rpm파일을 다운받아서 ftp로 서버로 전송한 후 설치를 하였다. $ rpm -ivh zabbix-agent-4.0.9-3.el7.x86_64.rpm $ yum install zabbix-agent 이런 과정을 거쳐 zabbix-agent 를 설치했다면 /etc/zabbix/ 가 생성이 되었을 것이고 다음과 같은 것이 안에 있다. Zabbix Server 연동 Zabbix Server와 연동을 하기 위한..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cY5db/btqHAmtpmUc/Xv2Ydglj05d5Eem97TfQsk/img.png)
Zabbix를 사용하는 곳이 점차 늘고 있다. 사용을 해보니 왜 많은 곳에서 사용하고 있는지 알것 같다. 이제는 사용자의 입장에서 설치하고 연결하고 모니터링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하기에 확실히 알고 넘어가야 할것 같다. 일단 이번 포스팅은 Zabbix 메뉴얼을 보고 공부할겸 정리를 해본다. 한글 메뉴얼은 현행화가 안되어있어서 개념정도만 익혀야 할듯 싶다. Zabbix란? Zabbix는 시스템, 네트워크를 모니터링할수 있는 솔루션이며, 오픈 소스로 배포되고 있다. (메뉴얼에는 이 뒤에 많은 내용이 있지만 한글메뉴얼이라고 해놓고 번역기 돌린거라 문맥도 이상하고 혼란만 가중된다. 그렇다고 영어 메뉴얼은.. 아무튼 딱 이정도만 알면 될것 같다.) Zabbix 의 기능 (메뉴얼 그대로 가져와서 이상함.. 중요한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