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9daOD/btqUGUFCWKj/dkd7kpoWcytEtBIxknkkT1/img.png)
이클립스에서 Tomcat을 기동시 The specified Tomcat installation directory does not exist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오류의 원인은 명확하다. Tomcat이 설치된 위치를 못찾는것이다. 해결방법 이클립스 상단 Preferences > Server > Runtime Environment > Tomcat 클릭 > Edit tomcat이 설치되어 있는 위치를 확인하고 매핑시켜준다. 없으면 아래의 Download and Install 을 통해서 설치한다. 제대로 매핑이 되었다면 오류는 사라지고 tomcat을 재기동해도 정상동작을 한다. 끝!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wCvqf/btqS4L5bWgt/A2NY5cmWpa6v2q1d3kMskk/img.png)
지금은 거의 사용되지 않는(아직도 많이 사용할수도 있겠지만..) Jenkins + Ant + SVN + Windows서버 조합으로 자동배포하는 포스팅을 하려고 한다. Hudson이 껴있었으면 딱 again 2010년쯤 유행했던 기술셋인거 같다. 이 글을 쓰는 이유는 이제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어 기억에서 흐려지고 있어서 나중에 혹시라도 다시 써먹을수도 있기에 기록을 남겨둔다. 오래된 기술셋이지만 요즘에 많이 쓰이는 Maven + Git + Linux 서버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메카니즘은 동일하니 이 과정을 알아두면 분명 도움이 된다. 1. Ant Build Script 작성 가장 먼저 해야 할일은 Ant Build Script를 짜는 것이다. 아래 링크를 참조해서 작성을 해보자. Ant Build (bui..
tomcat을 사용하다보면 종종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 # There is insufficient memory for the Java Runtime Environment to continue. # Native memory allocation (mmap) failed to map 134217728 bytes for Failed to commit area from 0x0000000081a00000 to 0x0000000089a00000 of length 134217728. OpenJDK 64-Bit Server VM warning: INFO: os::commit_memory(0x0000000081a00000, 134217728, 0) failed; error='�� �۾��� �Ϸ��ϱ� ���� �..
Springboot 내장 톰캣을 사용할때 session clustering에 대해서 글을 썼는데 역순으로 글을 쓰는것 같다. 이 글을 쓸때 이미 구성되어 있는 Tomcat server.xml 의 clustering 부분을 가져다가 썼는데 그것에 대해 기술을 해보려고 한다. web.xml - application 단에서 설정해준다. ... 생략 ... server.xml - tomcat 의 설정 ... 생략 ... ... 생략 ... ... 생략 ... ... 생략 ... Server > Service > Engine > Cluster 부분에 위와 같이 작성을 한다. membership, receiver 등에 들어가있는 address나 port 등을 변경하지 않는다. 변경해도 되지만 was1와 was2가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6dNMA/btqGFauFF8m/BUK0sZI6CBUtnQ3SRpYbRK/img.png)
상용 WAS 들이 생각나지 않을만큼 강력한 Tomcat에서 아쉬운점은 admin console 역할을 하는 GUI 가 없다는 것이다. 아니다. 사실은 있다. Tomcat Manager 라고 불리는데 기능은 상용 WAS 에서 제공하는 것만은 못하지만 그래도 간단한 사항들은 Web에서 확인을 할수가 있다. 기본적으로 보안 이슈때문에 사용을 할 수 없는데 설정 몇가지만 건드리면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다. /tomcat설치경로/conf/tomcat-users.xml 파일을 열어보자. 맨 아랫부분에 이렇게 주석으로 된 부분을 찾을수가 있다. 이부분을 다음과 같이 바꿔보자. 계정은 admin/admin 으로 설정을 했다. 만약 application이 별도의 Context Path를 가지고 있다면 위와 같이 설정하고..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BagpF/btqEvihCScT/1YNGpSxxsSTjGa4uEX1N9K/img.png)
springloaded는 hot deploy를 가능하게 해주는 기술 중 하나이다. hot deploy는 뭐냐? 쉽게 설명을 하자면 소스의 변경을 was의 재기동 없이 반영을 해주는 것이라고 생각 하면 된다. was의 재기동은 상황에 따라서 매우 오래 걸릴수도 있기 때문에 이렇게 즉각 변경사항이 반영되는것은 프로젝트 생산성 향상에 아주 큰 도움이 된다. tomcat 환경에서 springloaded를 적용하는 방법은 아주 간단하다. 일단은 springloaded.jar 파일을 받는다. jar 파일 하나만 받으면 된다. Maven Repository: org.springframework » springloaded » 1.2.8.RELEASE org.springframework springloaded 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