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Qpr5g/btrvBl1DcPn/tyLjyT7f0SUMkBBlfujdK0/img.png)
Springboot에서 지원을 하는 Template Engine은 Thymeleaf, Freemarker, Velocity 등이 있다. 이중 freemarker로 프로젝트 구성을 하게 되었다. freemarker 자체만으로 Tiles에서 하는 화면 구성을 해줄수도 있지만 기존의 잘 짜여진 tiles 구조와 설정 등을 그대로 들고 오기 위해 freemarker와 tiles를 결합한 구성이 필요했다. 생각보다는 쉽지 않았다. 1. dependency 추가 pom.xml org.springframework.boot spring-boot-starter-web org.apache.tiles tiles-freemarker 3.0.8 org.apache.tiles tiles-extras 3.0.8 org.apache..
Freemarker를 Tiles와 같이 써야하는 상황이 생겼다. 그래서 Tiles + Jsp 하던것처럼 tiles-layout.xml (tiles 구성 파일)을 설정을 했더니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하였다. [14:34:13.723][ERROR][org.apache.catalina.core.ContainerBase.[Tomcat].[localhost].[/].[dispatcherServlet].log:line175] - Servlet.service() for servlet [dispatcherServlet] in context with path [] threw exception [Could not resolve view with name 'freemarker.hello' in..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0i0jr/btrndq4B1OO/czm9fFBZLKrISTdjW2uev1/img.png)
메인인 springboot app(app1)이 있고 front의 틀을 잡아주는 Tiles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app2)에 들어가 있다. app1에서는 app2에 대해 dependency를 걸고 있는 상황이다. app2가 jar로 app1에 library처럼 들어간 것이다. 그림으로 표현하자면 위와 같은 모습이다. tiles가 jar 형태로 배포가 되어야 하기에 webapp/WEB-INF 하위에 위치를 시킬 수 없어서 META-INF/resoureces/WEB-INF 하위에 tiles를 위치시켰다. IDE 상에서 dependency를 걸었을때는 다음과 같은 기본 설정으로도 잘 되었다. springboot + tiles 설정 (기본) @Bean public TilesConfigurer tilesConfi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