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을 사용하면서 외부 설정 파일(properties or yml)은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이를 읽어오지 못하는 문제는 자주 직면하게 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오류다.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UnsatisfiedDependency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apiService': Unsatisfied dependency expressed through field 'jwtUtil'; nested exception is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BeanCreation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jwtUtil': Injecti..
Springboot로 넘어가면서 yaml 파일이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여전히 properties 파일도 많이 사용된다. yaml 파일일때는 고민없이 사용할수 있는 Value에 대한 입력방식이 properties 파일에서는 고민이 되는 부분이 있다. 바로 제목에 쓴 것처럼 multiline의 value와 list, array인 경우이다. application.properties #multiline test.multiline=aaaaa\n\ bbbbb\n\ ccccc #list or array test.list.fruit=apple,banana,watermelon multi line은 문자열 뒤에 \n\ 을 입력하면 된다. 줄 수만큼 넣어줘야한다. list, array는 , 로 구분지어 넣을 항목들을 쭉 넣..
Eureka를 사용하면서 application.properties (application.yml) 에서 설정값에 대한 공부를 자세히 하고싶은데 자료를 찾는것이 쉽지 않다. 대부분의 포스팅은 매번 사용하는 비슷한 설정만 사용하고 그 외의 자료는 spring 공홈밖에 나타나있지 않다. 다들 영어를 잘해서 spring 공홈으로 들어가서 직접 설정값들을 보고 적용을 하는걸까? 내가 직접 번역은 못하고.. 번역기 돌려서 번역해 놓고 나중에 두고두고 써먹어야겠다.. NameDefaultDesceureka.client.allow-redirectsfalse서버가 클라이언트 요청을 백업 서버 / 클러스터로 리디렉션 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냅니다. false로 설정하면 서버가 요청을 직접 처리하고 true로 설정하면 H..
springboot로 기존에 있던 프로젝트를 전환을 하고 화면개발을 시작하는데 JSP 파일을 수정하고 아무리 새로고침을 해보고 캐시도 날려보고 요란법석을 떨어도 반영이 되지 않았다. 서버를 재기동해야만 이게 반영이 되는데 이래서는 도저히 쓸수가 없다고 느끼고 방법을 찾아보니 방법이 있다. application.properties에 한줄만 추가해주면 된다. server.jsp-servlet.init-parameters.development=true 위 문구 추가하고 재기동! .... 안된다. 문제가 있었다. 위의 방법은 springboot 2.0 미만에서 동작을 한다는 것이다. springboot 2.0 이상에서는 다음과 같이 작성해야 한다. server.servlet.jsp.init-parameters...
2020/05/13 - [framework/Springboot] - spring 프로젝트에서 springboot 프로젝트로 migration 하기 (1) - pom.xml 2020/05/13 - [framework/Springboot] - spring 프로젝트에서 springboot 프로젝트로 migration 하기 (2) - web.xml 앞서 springboot 전환을 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pom.xml 변경, web.xml 변경에 대해서 살펴봤다. 이번 챕터는 springboot 전환에 따라 어떤 파일이 추가 및 변경이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기술을 하겠다. 일단 가장 먼저 다뤄야할 부분은 앞서도 나왔지만 springboot 메인 클래스를 만들어야 한다. Application.java @Spring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