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v1awU/btrtBOjcVpv/NgiqdIFGG3ygit8KApXuL1/img.png)
윈도우 환경에서 ssh key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폴더/.ssh 가 없으면 생성이 안된것이다.) 위와 같이 ssh-keygen 을 통해서 생성을 할 수 있다. 특정한 경로에 설정하지 않을거라면 묻는 말에 모두 엔터로 응수해준다. 그럼 위와 같이 ramdomart image까지 나오며 ssh key가 생성이 된다. 생성된 .ssh 폴더 안에는 id_rsa라는 private_key와 id_rsa.pub라는 public_key가 생성되었다. 끝!
OS/Windows
2022. 2. 17. 14:45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5ajBQ/btqNBeRA8S8/ix0YKclA82CLjk9lDNNCZk/img.png)
A Server에서 B Server로 SSH를 이용하여 파일을 전송하거나 작업을 할 경우가 있다. 가장 대표적인것은 SCP이다. SCP로 이렇게 파일을 전송하려고 했을때 대상서버의 비밀번호를 물어본다. 비밀번호 넣어주고 해도 되지만 Jenkins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SCP 작업을 하려면 SSH key를 통해 해야한다. 물론 비밀번호도 넣어줘도 되지만 보안상 넣지 않는것이 일반적이다. 어떻게 SSH key를 생성하는지 또 생성한 key를 어느 위치에 어떻게 놔둬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자. 일단 예제에 앞서 개념을 잡고 가기 위해서 허접한 그림을 그려봤다. SSH key를 이용해 인증을 해서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파일을 전송하는것이 목표다. 그림대로 A Server는 B Server에게 SSH를 통..
OS/Linux
2020. 11. 17. 12:38